본문 바로가기
문화생활/독서

[에세이] 이병률, 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

by frog 2022. 9. 28.

 

 책 정보

  • 제목 : 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
  • 작가 : 이병률
  • 출판사 : 달

사랑을 다양한 모양으로 담은 문장들을 담은 책. 이 책을 읽는 동안 개구리가 행복했다는 소식도 들으셨으면 좋겠다.

 

며칠 전 서점을 둘러보는 중에 소나기를 만났다. 우산이 없던 개구리는 책을 읽으며 비가 그치길 기다리기로 했다. 마음이 가는 책을 골라 구매하고, 카페를 겸하는 서점이라 커피도 한 잔주문했다. 빗소리, 책, 커피 개구리가 좋아하는 것들과 함께하는 시간은 계획에 없던 시간임에도 충분히 행복했다.

 

요즘 개구리가 책을 고르는 사고의 흐름은 정말 단순하다. 마음에 드는 제목, 예쁜 표지, 지인의 추천 혹은 그냥 촉. 이 책을 고르게 된 이유는 제목과 촉이었다. ‘비 소식은 못 듣고 우산은못 챙겼지만, 행복하다는 소식이라도 들어볼까..!’하는 마음. 큰 기대 없이 펼친 책에서 너무 멋진 문장들을 만나 놀랐다. 사랑이 삶에서 가장 중요한 가치라고 생각하며 살아왔지만, 사랑은개구리에게 늘 정의하기 어려운 모호한 개념이다. 책을 읽으며 개구리가 발견하는 사랑의 다양한 모양을 개구리만의 문장에 담아보고 싶은 생각이 들었다.

 

📚
당신이 시계를  때면 시계는  11 11분을 가리키고 있다고 했다그런 일이 자주 있다고했다나도 우연이겠지만 시계가 4 44분을 가리키고 있을 때가 많아도 너무 많은데당신은11 11분을 보는  하루  번이지만내가 4 44분을 가리키는  보는  하루  번뿐일거라고 했다시간에 그리도 능통하다니시계를 백번씩 들여다보는 한이 있더라도 매일  4 44분을 기다려야겠는걸 이야기를 하는 당신을당분간은 당신을 좋아해야겠다고 생각했다.

🐸
→ 모양 1. 사소함을 소중히하게 되는 마음. 매일 2번씩 돌아오는 4 44분에 의미를 가지게 되는 마음. 하루   밖에 보기 힘든 4 44분을   보고 싶어지는 마음. 4 44분이면 막연하게 행복해지는 마음. 개구리는 소중하게 쌓인 사소함이 좋다.

 

📚
"윤두열의 산문집 <그때 나는 혼자였고 누군가의 인사가 그리웠으니까>에는 이런 글이 나온다. ‘사람은 살면서 이백 가지 소원을 빌어요. 근데 있죠, 이루어지는 건 삼백 가지래요. 누군가나를 위해 빌어주는 소원도 있어서요’. 거참 대단하지 않은가, 누군가 나를 위해 몰래 빌어주는데 그 소원이 내 몫으로 이루어진다는 건.”

🐸
→ 모양 2. 뭐든 기꺼이 하게 되는 마음. 살면서 이백 가지 소원밖에   없음에도,  소원을 기꺼이 소중한 인연들을 위해 빌어주고 싶은 마음. 개구리가 빌어준 소원이  몫으로 이루어져서, 네가  행복해진다면  바랄  없는 마음. 🌈

 

📚
"스페인 사람이나 유대인은 자신의 이야기에 집중해달라는 뜻으로 상대방의 팔을 붙잡고 이야기한답니다. 영국 사람들은 자기 얘기에 집중해달라는 뜻으로 상대방의 옷 단추를 잡고 이야기하는 사람이 있다고 하고, 이걸 버튼 홀딩이라고 한답니다. 단추 말고도 상대방의 옷 주름을 잡고 얘기하는 사람도 있고, 심지어는 넥타이를 늘려주면서까지 자신의 이야기에 귀기울여달라는 사람까지 있다고 합니다.”

🐸
모양 3. 귀기울여달라고 해줬으면 하는 마음. 개구리가 소중해서 자신의 이야기에 집중해줬으면 하는 마음을 가졌으면 하는 마음. 소중한 인연들이 개구리의 사소한 이야기를 하며 개구리의  단추를 잡아준다면 행복할  같다고 생각했다.

 

 

 

📚
"당신이 왜 무작정 바다에 가고 싶어하는 건지, 당신이 왜 그 사람 이 한 말을 여러 번 여러 각도로 곱씹는지, 그리고 왜 자주 멍해지는 것만으로도 잘못된 방향으로 내달리는 느낌에 가슴이아픈 건지, 이 정도라면 당신은 그 사람을 열심히 사랑하고 있는 게 아니고 무엇이 겠는가.”

 

📚
"나를 든든히 오래 지켜줄 것 같은 사람이랑.”

 

 

:P


 

 

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- 교보문고

사랑의 힘은 무엇도 될 수 있게 하고 그 무엇도 가능하게 했습니다 말 속에 진심을 숨겨놓는 사람들, 사랑과 이별이 제각각 스며든 우산, 사랑을 배운 적 없어서 사랑 앞에서 주저하는 사람, 아

www.kyobobook.co.kr

 

댓글